저탄소 녹색상품 활성화 방안은? 생산&소비를 연한 선순환구조 필요
OSEN 이인환 기자
발행 2017.07.06 09: 54

저탄소 녹색상품 활성화를 위한 방법에 대한 포럼이 개최됐다.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은 지난 5일 오전 11시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국회의원과 공동주최로 저탄소 녹색상품활성화를 위한 녹색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한승호 녹소연 공동대표가 사회를 맡고, 허탁 건국대학교 융합신소재공학과 교수가 '탄소성적표지제도와 저탄소 녹색상품의 활성화'에 대하여, 강선희 녹소연 정책부장이 '저탄소상품에 대한 시장확대 및 소비자선택권 확대방안'에 대해 발제를 진행했다.

녹소연 이덕승 상임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녹색소비에 연결되어 있는 대부분이 개인소비영역에 포함되어 있어, 이는 정부가 전부 관리하기도 어렵고, 시장의 문제가 존재한다”고 평가하며,“이러한 시장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는냐의 문제를 논의 하는 귀한 자리가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녹색상품 전문가들과 강병원 의원실이 함께하여 의미 있는 자리가 된 것 같다”고 토론회 개회를 알렸다.
이덕승 상임위원장은 “올해 녹소연의 10대 녹색 소비 캠페인에 저탄소 녹색상품 구매하기를 선정하였고, 8년째 지속하고 있는, 전국 소비자 500여명의 투표로 선정되는‘올해의 녹색상품 시상식’을 오늘 진행한다”라고 계획을 알렸다.
이 날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저탄소 인증제에 대해 논의하고, 저탄소 상품 활성화방안을 정부, 국회, 기업, 소비자의 입장에서 모색했다. 
허 탁 건국대학교 융합신소재공학과 교수는 “기존의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 전환이 경제성장과 환경보호의 균형 하에 미래 국가경쟁력강화에 필수 요소이다”고 강조했다. 반면에“생산기업에 대하여 지속가능한 생산, 소비자에게 지속사능한 소비를 요구하지만 둘 간의 효율적인 소통이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저탄소 녹색상품 활성화 방안으로는 ‘저탄소 녹색상품에 대한 구매,소비 지원제도시행’과 ‘녹색상품 활성화를 위한 과세제도의 개편’, ‘저탄소 녹색상품 관련 일자리 확대’, ‘저탄소 관련 새로운 시장의 창출’, ‘4차 산업혁명과의 접목을 통한 환경 개선과 국민 편익 개선’을 제시했다.
저탄소 녹색상품의 민간소비시장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그린카드 의 제정비, IOT와 인공지능 발달로 더욱 중요해지는 온라인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상품접근성의 향상, 대형유통업체와 전자상거래업체의 검색어, 검색카테고리설정, 녹색구매지원센터에 대한 지원, 가격인하를 위하여 마크연간사용료 폐지’ 등 장애요소 각각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강병원 의원은 “저탄소상품에 대한 이러한 포럼를 통해 소비자이면서 국회의원으로써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였다”고 평가했다. 아울러“녹색소비의 활성화, 녹색상품이 더 확산되기 위해 필요한 부분들을 법으로 제·개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mcadoo@osen.co.kr
[사진] 녹소연 제공.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