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올해 73개의 몸에 맞는 공을 기록 중인데, 그 중 우리가 17번이나 맞았다. 최정은 4번이나 맞았다. 고의성이 있는 공도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신사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트레이 힐만 SK 감독은 작정한 듯이 데이터까지 들고 나왔다. 그간 판정에 대해 강하게 어필하거나 상대 팀을 비난한 적은 없었던 힐만 감독이기에 더 놀라운 광경이었다. 쌓이고 쌓였던 것이 폭발했다는 평가인데, KBO 리그와 메이저리그(MLB)의 인식 차이도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힐만 감독은 1일 인천 삼성전에서 1회 최정이 몸에 맞는 공으로 주저앉자 덕아웃을 박차고 나갔다. 김정국 주심에게 강하게 항의했다. 얼굴은 상기되어 있었다. 힐만 감독은 이 상황에 대해 “예전에도 우규민이 최정에게 위험한 공을 던진 적이 있다. 그 점을 감안해 달라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삼성 벤치와도 다소간 설전을 벌이는 장면이 방송 카메라에 잡혔다. 이례적인 일이었다.
몸에 맞는 공은 모두에게 예민하다. 맞은 타자는 심각한 부상 위협에 직면할 수 있다. 던진 투수도 진땀이 흐른다. 다만 우규민의 당시 투구에 고의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우규민은 1루에 나가는 최정에게 사과를 했고, 경기 후 도열 과정에서도 1루 측의 최정에게 미안하다는 손짓을 했다. 던진 우규민도 마음이 편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최정도 사과를 받고 넘어갔다.
여기까지는 KBO 리그의 보편적인 정서다. 몸에 맞는 공이 나와도 상대의 고의가 아니라면 큰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지난 6월 25일 롯데와 두산과의 경기에서는 박세웅이 양의지 민병헌을 연속으로 맞혔으나 보복은 없었다. 두산은 속이 상했지만 고의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기 때문.
타자들은 “고의로 던지면 던질 때부터 다 안다. 투수들의 눈이 포수 미트가 아닌 타자를 향하고 있다”고 말한다. 아픈 부위를 맞아도 그냥 나가는 경우가 있는가하면, 맞지 않아도 투수들을 향해 달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타자들이 순간적으로 고의성을 확인할 수 있어서다.
그러나 MLB는 또 다르다. 고의성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당연히 빈볼이 날아간다. 고의성이 없을 때도 빈볼을 던지는 경우가 있다. 간판급 선수들이 위험한 몸쪽 공에 맞았을 때가 대표적이다.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두 팀 사이에 ‘쌓인 감정’이 있다면 고의성과 관계없이 바로 보복구가 날아가는 것이다. 그것도 맞은 선수의 팀 내 비중과 비슷한 상대 간판선수에게 던진다.
이는 “언제든지 너희 간판타자도 맞을 수 있으니 조심하라”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보복구는 상당수 벤치클리어링으로 이어져 대미를 장식함과 동시에 불씨도 남긴다. 어쨌든 미국에서 오랜 기간 지도자 생활을 한 힐만 감독에게 간판선수인 최정이 지속적으로 맞는 상황은 용납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힐만 감독은 “21년 동안 감독 생활을 하면서 빈볼을 지시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대가 우리 선수들을 위협하는 공을 던지는 것에 대해서는 가만히 있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상황이 중대하다면 바로 보복구를 던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실제 SK는 올 시즌 총 68개의 몸에 맞는 공으로 이 부문 리그 2위에 올라있다. 리그 평균(52개)보다는 훨씬 더 많이 맞고 있다. 이런 상황도 힐만 감독의 강경 발언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skullboy@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