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국내 첫 민간 빅데이터 개방 사례인 '빅데이터 허브'의 데이터 이용 신청 건수가 6월 말 기준 1만 1000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빅데이터 허브’는 지난 2013년 10월 첫 개방 이후 4년째를 맞고 있다. 공개 데이터는 최초 10건에서 시작해 총 867건으로 확대됐다.
국내 4세대 이동통신(LTE) 스마트폰 가입자 1명당 데이터 트래픽은 지난 4월 말 6GB(6206MB)를 처음으로 넘어서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모바일 사용 환경을 갖춘 만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빅데이터가 활발하게 생산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가 갖고 있는 위치정보 데이터를 향후 공공/금융/생활 데이터와 결합하면,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신뢰성있는 통계 확보가 가능해 공익적 활용의 주요한 도구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21세기 원유’에 비견되는 빅데이터의 글로벌 기술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SK텔레콤의 선도적인 빅데이터 개방이 주목을 받고 있다.
공개된 데이터 중 ▲배달업종 이용 분석 ▲치킨집 이용 분석 ▲영화관 이용 트렌드 등의 순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프랜차이즈업체 또는 자영업자들의 업황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허브’ 이용회원은 지난 5월 기준 4000명을, 이용 신청 건수는 1만 1000건을 넘어서며 꾸준하게 이용 기반을 넓혀가고 있다.
이밖에 ‘빅데이터 허브’는 Web/APP(웹/앱) 서비스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제공, 오픈된 빅데이터의 활용 영역을 확대했다.
SK텔레콤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자체와 협업 프로젝트도 총 80여 건에 달해, 빅데이터를 통한 정확한 수요 예측 및 분석을 통해 행정의 효율을 향상시켰다는 평가다.
SK텔레콤의 지오그래픽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인 ‘지오비전(Geovision)’의 유동인구 등 각종 시장정보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를 결합해 ▲내·외국인 관광객 분석 ▲교통·복지 사각지대 분석 ▲창업 지원·상권 분석 ▲범죄예방·CCTV입지분석 등 약 80여 개의 공공 빅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특히 SK텔레콤의 빅데이터 기술은 행자부/한국정보화진흥원 등 공공 빅데이터 분석 표준모델의 기준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통계청으로부터 휴대폰을 이용한 부산 서비스 인구통계를 국가 공식통계(제01402호)로 승인받는 등 우수성을 인정받고, UN에 최초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경기도 ‘따복버스(따듯한 복지버스)’는 공공 지자체와 성공적인 협력 사례로 평가된다. ‘따복버스’는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벽오지나 산업단지,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운행하는 새로운 교통복지 수단이다. 특정 요일이나 시간대에만 운송 수요가 발생해 운송업체가 정규 노선 편성을 기피했지만, SK텔레콤이 경기도와 함께 이용자들의 동선을 파악해 ‘출퇴근형’ ‘관광형’ 등 패턴별 맞춤형 버스 운행을 도출했다.
SK텔레콤은 ‘빅데이터 꿈나무’ 육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신용보증재단중앙회·관광문화연구원 등과 함께 빅데이터 경진대회를 위해 통신 데이터를 제공한다.
내비게이션 ‘T맵’도 착한 빅데이터 활용에 함께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소방방재청과 함께 ‘소방차 통행 곤란구역’ 안내를 하고 있다. 서울시내 1800여 개의 골목길 등에 안내 종료 시 “소방차 통행 곤란구역이니 주차를 삼가달라”는 안내가 나온다. 또 차량이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면 내비게이션을 통해 ‘일시 정지’ 경고 메시지를 알린다.
SK텔레콤은 국내 빅데이터 산업의 ‘퀀텀’ 점프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빅데이터 개인정보 비식별화에 대한 실증 과제’를 최근 수행 완료했다. 이는 지난해 행정자치부 등 6개 부처가 합의해 발표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식별화 된 빅데이터 개인정보 활용을 실제 검증한 것이다. /letmeout@osen.co.kr
[사진] 30일 '빅데이터'를 주제로 한 New ICT 포럼에서 SK텔레콤 허일규 Data사업본부장이 빅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