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지난 23일, 서울 서초사옥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을 상세히 공개하며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소식을 전하는 외신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그 동안 고객 여러분들과, 통신 사업자, 유통 거래선, 모든 협력사 여러분들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노트7 소손의 원인을 철저하게 밝혀내고 개발, 제조, 검증 등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8 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할 뿐만 아니라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와 검증, 공정관리를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하는 등 부품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했다.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해 다중 안전 장치를 적용키로 했다.
캠브리지대학교 클레어 그레이 박사, 버클리대학교 거브랜드 시더 박사, 스탠포드대학교 이 추이 박사, 아마즈 테크컨설팅 CEO 토루 아마즈쓰미 박사 등 학계와 연구기관의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해 제품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바라보는 해외 언론의 시선은 차갑다.
'뉴욕 타임스'는 "삼성전자는 기자 회견을 통해 가장 필요한 부분을 발표하지 않았다"면서 삼성전자의 조직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열거했다.
이 신문은 "지난 10년간 삼성과 대한민국은 미래 지향적인 기술적 우위 모델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들은 '삼성 공화국'이라 표현한다.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그룹의 부진은 대한민국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을 가로막는 삼성그룹의 수직적 조직 구조가 이번 사태를 일으켰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삼성그룹 출신의 김진백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와의 인터뷰를 소개했다. 김 교수는 "삼성에서 관리자들은 단기 성과를 통해 스스로를 증명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린다"고 털어 놓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노트7 출시를 앞두고 회사 내부에서 배터리 설계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됐으나 삼성 특유의 조직 구조 탓에 알고도 바꾸지 못했다. 우원식 국회의원은 "삼성공화국 현상이 결과적으로 국제적 신뢰를 손상시킨다"고 지적했다.
'비지니스 인사이더'는 "삼성전자가 배터리를 점검하기 위해 향후 대책을 마련하는 건 훌륭한 일이지만 의사 결정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켰다"고 말했다. 갤럭시 노트7의 출시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무리수를 던졌다는 지적을 꼬집는 말이다. 탈이 난다는 걸 알면서도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조직 구조가 부른 결과였다고 전했다.
외신들이 기자회견에서 듣기를 기대했던 반성은 '기술'이 아니라 '기업 문화'에 있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통렬한 반성문에서도 '혁신을 가로막는 기업 문화'에 대한 진솔한 반성은 찾을 수 없었던 모양이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7의 배터리 소손 원인을 공개하고 향후 대책을 내놓았지만 조직 구조 개선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이들의 지적대로 제2의 갤럭시 노트7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어 보인다. /what@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