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늘 아닌 시인 윤동주? 상상이 안된다 [동주 개봉②]
OSEN 정유진 기자
발행 2016.02.16 07: 47

실존했던 유명 인물을 연기하는 것은 여러모로 부담되는 일임이 분명하다. '캐릭터의 싱크로율이 맞다', '맞지 않다'부터 시작해 주인공의 행동이나 성격이 실제(혹은 관객들이 실제라고 인식하는 것)와 다르게 묘사됐다고 평가를 듣는 등의 문제들이 불거지면 답이 없다. 자칫 잘못 하다간 이런 문제들이 작품이나 배우의 연기를 압도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고뇌하는 청춘의 상징 윤동주의 삶을 스크린으로 옮기고자 했던 이준익 감독에게도 같은 부담이 있었을 것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면서도, 존경받는 실존 인물에 대한 '예의'를 어떻게 지켜낼 것인가? 거기서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주인공 윤동주 역을 맡은 배우다. '동주' 속 윤동주는 관객이 납득할만한 윤동주이면서, 동시에 알려진 것 이상을 표현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했다. 
이준익 감독은 강하늘을 택했다. 그리고 그의 선택은 옳았다. 흑백 화면 속 강하늘은 섬세한 얼굴 생김에서부터 부드러운 표정까지 우리가 생각하는 청년 윤동주의 모습을 따라 그린 듯 닮았다. 게다가 그는 영화 '쎄시봉'에서 윤동주의 육촌 동생 윤형주 역을 연기했을 정도로 윤씨 집안과 인연이 깊다. 재밌는 것은 탁월한 음악적 재능까지 닮았다는 점. 

시와 음악은 한끗차이다. 이준익 감독은 OSEN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유미적인 감각"이라고 표현하며 "강하늘은 시인들이 지니고 있는 유미적인 감각이 있는 것 같다. 너무 잘 어울린다. 강하늘 보다 잘 어울리는 배우들이 있을까 싶을 정도였다"고 설명한 바 있다. 강하늘에게 "성을 윤 씨로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던 윤형주의 농담이 절묘하게 들리는 이유다. 
더불어 강하늘은 '동주'에서 머릿속에 상상만 해왔던 청년 윤동주의 면면을 살아있는 사람의 것으로 뼈를 붙이고 살을 덧입혀 살려냈다. 신념을 위해 거침없이 행동하는 가장 가까운 벗 몽규(박정민 분)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갈등하는 동주의 모습은 너무나 인간적이라 보는 이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강하늘에게 '동주'는 운명적인 작품이다. 처음 제안이 들어왔을 때부터 고민없이 작품에 빠져들었다. 그는 "내가 윤동주 선생님을 만났을 때 욕 듣지만 말자는 결의였다. 언젠가는 만날 것이지 않나. 윤동주 선생님을 영화화하는 첫 작품에서 욕 듣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그런 마음이었다. 대단한 연기를 하겠다는 결의가 아니라 폐 끼치지 말자는 마음이었던 것 같다"고 영화에 임하며 가졌던 자신의 마음가짐을 알리기도 했다. 이 같은 겸손함은 영화에도 그대로 담겨 보는 이들로 하여금 배우 강하늘이 아닌, 시인 윤동주에 집중하게 만든다.  
이제는 강하늘 아닌 윤동주를 상상할 수 없다. 누군가가 연기한 윤동주보다 윤동주를 연기한 누군가가 되길 원했다는 이준익 감독의 바람은 이렇게 강하늘을 통해 이뤄졌다. 과연 그의 진심이 스크린을 통해 관객들에게는 어떻게 전해지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동주'는 오는 17일 개봉한다. /eujenej@osen.co.kr
[사진] '동주' 스틸 컷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