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여 년 발품 팔아 찾아낸 봉화” 옛 이동통신 봉수
OSEN 강필주 기자
발행 2014.11.21 14: 29

30여 년 동안 산으로 출근한 인문학의 보고 한 권의 책으로
국내 최초 우리나라 봉수 218개소 실태조사
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선정도서

도서출판 강이에서 '우리 터 우리 혼, 오늘도 팔도가 무사하다 봉화가 전해 주네'라는 타이틀로 신간도서 ‘옛 이동통신 봉수’를 출간했다.
광복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었던 우리나라 봉수가 한 권의 책으로 나온 것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최전방 DMZ의 도라산봉수에서 제주도 오소포연대까지 전국의 봉수대가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발로 뛰며 찾아다닌 결과물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말까지 국가안위를 책임졌던 우리나라 봉수는 현재 얼마나 남아 있을까? '옛 이동통신 봉수'에는 우리나라 봉수 218개소 중 멸실된 곳 7개소를 제외한 현존하는 211개소와 봉수의 시원지로 알려진 진해 망산도비문 1개소가 국내 최초로 공개된다. 이 중에서 유적상태가 절반정도 보존된 곳은 61개소, 담장만 남은 곳이 79개소, 복원된 곳은 71개소다.
이 책의 저자인 최진연(61) 데일리안 관방유적 전문 기자는 카메라에 담은 봉수대 사진 400컷과 역사자료, 주변 환경 등을 토대로 소상하게 정리한 내용을 인문학적 깊이와 형식으로 책에 담았다.
우리나라 봉수는 시기적으로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조선말에 편찬된「증보문헌비고」에는 남북한 통틀어 676개소가 축조됐다고 한다. 하지만 문헌에 없는 것까지 합하면 얼마가 될지 알 수 없다. 봉수전문 학자들에 따르면 한반도에는 남북한 통틀어 1150여 기가 있으며, 북한에 650여 기, 남한에는 500여 기가 파악되고 있는데, 이중에서 400여 기는 지금까지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봉수는 산 정상에 축조돼 있기 때문에 실제로 조사하기란 여간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한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 유실되거나 위치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는 “무거운 카메라장비를 둘러메고 접근이 어려운 산봉우리를 찾아다니는 것은 고행의 연속이었다며, 알려지지 않은 봉수대는 등산로가 없어 톱으로 잡목을 헤쳐 가며 길을 냈다”고 말했다.
봉수는 새천년시대가 열리면서 수난을 당했다. 특히 전망 좋은 봉수대는 해맞이 장소로 관광 상품화가 됐고, 지자체 이벤트 행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 지역의 봉수는 천편일률적으로 복원돼 봉수원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거나, 타 지역 봉수축제에 영향을 받아 마구잡이로 파헤쳐지기도 했다. 유적전문가가 없는 업체가 공사를 하면서 멀쩡하게 남아 있던 봉수가 사라지는 안타까운 일도 있다.
반면에 경북 영덕군 오지의 대리마을은 옛부터 매년 사월초파일이면 주민들이 봉수에 올라가 천신에게 고사를 지내며 마을전체가 공동체의 일원임을 다지는 제사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향기를 맡으면서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다. 마음의 치유를 위해 자연속의 힐링, 트레킹 명소로 봉수대가 국민들에게 인기를 끌자 정부차원에서도 세계유산등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최첨단의 무기가 범람하는 이 시대에 연기와 횃불을 보내던 고대통신인 봉수의 존재는 이제 무의미해졌지만 목숨 걸고 지켜준 옛 군인들의 예지(銳智)가 번뜩이던 거화선은 산등성이에 홀로남아 자신을 찾아줄 사람을 그리워하고 있다. 그곳에는 지금 산불감시초소가 세워져 세월의 무상함을 더해 준다.
letmeout@osen.co.kr
도서출판 강이 제공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